KCC 기업분석, 실리콘 어디까지 써봤니?
이번에 제가 소개할 기업은 KCC 입니다.
실리콘, 건자재, 도료를 파는 종합정밀화학기업입니다.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을 위해서 요약본입니다.
1. KCC 기업 소개
● 사업 구성
- KCC의 대표적인 사업 구성은 건자재, 도료,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건설 경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 건자재는 주로 건설 내장재 위주로 판매하고 있으며, 도료는 건설, 자동차, 조선용 페인트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 2019년에 인수한 미국 실리콘 기업 '모멘티브' (지분 60%)를 통한 실리콘, 석영 글로벌 기업 반열에 올랐습니다.
- KCC의 실리콘 (Silicone)은 건설용 접착 실리콘, 화장품 및 헬스케어용 실리콘 오일, 전기자동차용 실리콘 고무, 전기전자 제품용 실리콘 수지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 매출 구성
- 각 사업 분야의 매출 구성은 건자재 15.78%, 도료 21.92%, 실리콘 56.13%입니다.
- 22년 3분기 재무제표 기준 내수 46%, 수출 52% (*모멘티브의 해외 매출 제외)
2. 투자 포인트
● 매출 원가 하락
- 코로나로 인한 물동량 폭등에 따른 운임 상승, 22년 우크라전쟁 발발 후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인해서 매출 원가가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 하지만, 23년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고금리로 인하여 배 운임 및 원자재 가격이 많이 감소하여 코로나 이전 수준과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 KCC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분석 하실 때에도 원자재 가격 변동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 원자재 사이트를 많이 참조합니다. http://www.sunsirs.com/kr/sdetail-month--.html
● 가치 대비 낮은 주가
- 20년 50,836 억 (1,338억), 21년 58,749 억 (3,888 억), 22년 3분기 51,336 억 (4,100 억)으로 모멘티브 인수 및 신사업 진출로 인한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PER 밴드 13.2 배, PBR 밴드 0.4 배으로 일반적인 건설/건자재 기업으로는 현재 PER은 높으나 앞으로 업황이 개선됨에 따라서 낮아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건설 경기 및 다양한 포트폴리오
- 원자재 급등으로 인해서 건설사들의 착공이 지연되고 있으나, 점차 인플레이션이 해소되어 감에 따라서 23년 하반기에는 순차적으로 착공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재개발 및 재건축 충족 요건이 낮아짐에 따라서 신규 주택 건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건설, 조선, 자동차, 전기전자, 헬스 케어 등 다양한 전방산업에서 실리콘이 활용되고 있으며 KCC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서 실적을 낼 수 있습니다.
3. 리스크
● 고금리로 인한 재무 부담 증가
- 모멘티브 인수로 인한 차입금이 5 조를 돌파하고, 고금리 시대로 인한 이자 비용이 증가하고 있음. 연간 이자비용은 1,700 억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산 시장의 지속된 하락으로 인해서 금융 손실도 3,870 억 원을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경쟁사
4. 투자의견
- KCC는 건설 업황이 가장 중요한 데, 내수 및 글로벌 건설 업황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으며, 고금리 상황에 따른 주택가격의 하락 때문에 실적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고, 대부분의 투자자들도 동일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 심리도 좋지 않습니다.
- 하지만, 23년 하반기, 24년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되게 되면 건설, 자동차, 조선의 업황이 개선되고, 원자재 비용 감소 및 금융 투자 자산들도 안정권에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현재 235,500 원의 가격은 저렴하다고 판단되어 보초병 정도 투입하면서 천천히 비중을 늘리는 작전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PBR 0.3 배 수준인 215,000원이 안전마진으로 판단되며, PBR 0.5 배 수준인 346,500 원을 매도 가격으로 제시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리포트 형식으로 제작했습니다.
혹시 소장해서 다시 읽고 싶으신 분 들은 다운로드 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 효피의 기업분석 마치겠습니다.
부족한 제 분석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은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참조하시길 바라며,
추천이 아니라 투자에 대한 결정은 본인이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유안타증권 리포트 by 김기룡 애널리스트
https://blog.naver.com/nihil76/222404255959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212130008
https://blog.naver.com/bkhj15/222984463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