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에 도움되는 소식

23년 2월 3일 실적 공시, 네이버 22.4분기 IR

by 효피 2023. 2.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보투자자 '효피'입니다.

오늘도 실적이 큰 폭으로 변경되어 실적 공시가 된 종목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적 공시

23년 2월 3일 등록된 공시 종목 리스트

1) 코스피

● DB금융투자

 - 21년 대비 매출액 -12.5%, 영업이익 -84.8% 감소
 - 증시 부진과 거래대금 위축으로 인한 수수료감소,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금융 영업이익 감소

 종근당
 - 21년 대비 매출액 10.8%, 영업이익 16% 증가
 - 주요 품목 성장세 지속에 따른 매출 및 이익성장

 한창제지
 - 21년 대비 매출액 18% 증가, 영업이익 -92.7% 감소
 - 5호기 신규 설비 가동에 따른 매출액 증가, 원재료 및 에너지 비용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KG스틸
 - 21년 대비 매출액 13.9%, 영업이익 14.6% 감소
 - 판매단가 인상에 따른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

 DL건설
 - 21년 대비 매출액 -2.98%, 영업이익 -64.69% 감소
 - 인건비,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DL
 - 21년 대비 매출액 117.7%, 영업이익 26.3% 증가
 - Kraton 인수에 따른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인디에프
 - 21년 대비 매출액 -9% 감소, 영업이익 40.2% 증가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

 현대두산인프라코어
 - 21년 대비 매출액 3.5%, 영업이익 25.7% 증가
 - 글로벌 인프로 투자로 인한 걸설기계 및 엔진 수요 증가

 DL이앤씨
 - 21년 대비 매출액 -1.8%, 영업이익 -48.2% 감소
 - 부동산 침체 및 원가율 상승에 따른 이익 감소

 남해화학
 - 21년 대비 매출액 49.4%, 영업이익 205.6% 증가
 -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 화학제품 가격 인상으로 인한 실적 증가

 신성이엔지
 - 21년 대비 매출액 46.2%, 영업이익 801.7% 증가
 - 국내 및 해외 반도체, 이차전지 산업 관련 수주 증가

 애경산업
 - 21년 대비 매출액 6.4%, 영업이익 60.4% 증가
 - 제품 다변화 및 비용 효율화를 통해 매출 및 이익 증가

 다스코
 - 21년 대비 매출액 4.09%, 영업이익 170.12% 증가
 - 매출증가 및 운영 효율화에 따른 손익 개선

 삼익THK
 - 21년 대비 매출액 9.2%, 영업이익 40.8% 증가
 - 설비투자 증가에 따른 매출액 증가 및 원가율 개선으로 인한 실적증가

 더존비즈온
 - 21년 대비 매출액 -4.5%, 영업이익 -36% 감소
 - 코로나로 인한 시장경기 악화, 인건비 상승 등으로 실적 감소

 Naver
 - 21년 대비 매출액 20.6%, 영업이익 -1.6% 감소
 - 콘텐츠, 커머스, 서치플랫폼 등 주요 사업부문 성장으로 인한 매출증가

 

2) 코스닥

● 피제이전자
 - 21년 대비 매출액 31.6%, 영업이익 -7.8% 감소
 - 초음파의료진단영상장비 및 전장제품 포트폴리오 변경

● 블루콤
 - 21년 대비 매출액 -17.8%, 영업이익 적자전환
 - 경기 악화로 인한 매출액 감소

● 유니셈
 - 21년 대비 매출액 -14.47%, 영업이익 -33.54% 감소
 - 반도체 업체의 투자축소와 지연으로 인한 매출 및 이익 감소

● 넥스트칩
 - 21년 대비 매출액 -47.4%, 영업이익 -94% 감소
 -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공장 중단으로 인한 실적 감소

● 현대바이오랜드
 - 21년 대비 매출액 -4%, 영업이익 -15% 감소
 - 국내 생산효율화를 통한 이익률 개선 but 중국법인 손실

● 우리넷
 - 21년 대비 매출액 3.1%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 코로나 19로 인한 원자재 수급이슈 및 원가상승

● 한라IMS
 - 21년 대비 매출액 74.6%, 영업이익 6,203% 증가
 - 전반 산업인 조선의 수주개선으로 인한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

● 서울제약
 - 21년 대비 매출액 23.7%, 영업이익 흑자전환
 - 도매매출 증가로 인한 실적 증가

● 팬젠
 - 21년 대비 매출액 -18.1%, 영업이익 -41.5% 감소
 - 연구개발비 13억 원 처리로 영업손실

● 아이오케이
 - 21년 대비 매출액 15.3% 증가, 영업이익 -41.5 감소
 - 연결자회사법인의 손실로 인한 실적 악화

● 한국가구
 - 21년 대비 매출액 8.5% 증가, 영업이익 -1.4 감소
 - 투자부동산의 이익 관련 효과 소멸

● 유아이엘
 - 21년 대비 매출액 24.8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 코로나 완화로 인한 매출증가 및 내부관리 강화 통한 수익 개선

● 디와이씨
 - 21년 대비 매출액 3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 고객사 수요확대로 인한 매출액 증가 및 환율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

● 큐렉소
 - 21년 대비 매출액 51.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 의료로봇 사업 등 전체 매출 증가 및 영업이익 증가

● 테스
 - 21년 대비 매출액 -4.6%, 영업이익 -10.1% 감소
 - 연구개발비 증가 및 영업 외 수익 감소

● 더블유씨피
 - 21년 대비 매출액 39.4%, 영업이익 43.9% 증가
 - 분리막 판매량 증가에 따른 실적 증가

● 레이크머티리얼즈
 - 21년 대비 매출액 60.6%, 영업이익 71.08% 증가
 - 반도체 및 Solar 제품 매출 증가로 인한 이익 증대

● 바이오다인
 - 21년 대비 매출액 22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 19년 계약이 마무리되어 마일스톤 수익인식

● 한국정보통신
 - 21년 대비 매출액 10.2%, 영업이익 14.4% 증가
 - 내수시장 활성화에 따른 실적 증가

● 대한뉴팜
 - 21년 대비 매출액 18.8%, 영업이익 3.3% 증가
 - 주요 핵심제품의 매출 증대로 인한 실적 증가

● 넥스틴
 - 21년 대비 매출액 103%, 영업이익 164% 증가
 - 신규/기존 고객사 물량 증가, 수출량 증가에 따른 실적 증가

● 아이컴포넌트
 - 21년 대비 영업이익 46.6% 증가
 - Barrier film 제품의 매출증가로 인한 실적 증가

● 피엔에이치테크
 - 21년 대비 매출액 45.66%, 영업이익 32.88% 증가
 - OLED 물량 증가 및 실적개선

 

3) 종합의견

● 21년 증시 활황, 22년 증시가 지속적인 하락세로 금융투자의 실적이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 건설 섹터는 21년에도 별로였지만, 22년 더욱더 실적이 감소했습니다.

건설 경기가 23년에는 턴어라운드를 할 수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겠습니다.

● 반면에, 해외 인프라는 나쁘지 않아서 건설기계 섹터인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실적이 향상되었습니다.

● 한동안 태조이방원이라고 불리던 조선과 이차전지 섹터 종목들은 실적이 우수합니다.

23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 좋겠네요.

또한, 22년은 천천히 위드코로나 정책이 나오면서 내수주들이 우선 실적회복을 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21년 실적이 엄청 좋았는 데도, 22년 실적이 꺾이지 않은 것을 보면 최근 주가 반등이 이해가 되네요.

 

마지막으로 네이버 22.4분기 IR자료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4) 네이버 (NAVER)

22년 대외환경의 불확실 속에서도 네이버는 주요 사업부문 성장으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네이버 실적요약 by 네이버 22.4 IR

서치플랫폼은 네이버 본래의 검색엔진으로써의 서비스 비용으로 실적은 꾸준합니다.

서치플랫폼 실적 by 네이버 22.4 IR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검색광고의 실적이 향상되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커머스 by 네이버 22.4 IR

네이버 안에서의 결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실적도 성장 중입니다.

핀테크 by 네이버 22.4 IR

최근 각종 웹툰 기반으로 추가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인기를 끌면서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콘텐츠 by 네이버 22.4 IR

 

클라우드 및 기타 by 네이버 22.4 IR
4Q22 Naver_Earnings_Kor.pdf
0.40MB

 

이상 22년 2월 3일 실적확인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